최근 포스트

PCIe란 무엇인가

1 분 소요

PCIe(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컴퓨터 확장 슬롯(인터페이스) 표준을 뜻하며, 그래픽 카드(GPU), NVMe SSD, 네트워크 카드(NIC), 사운드 카드 등의 고성능 하드웨어를 연결하는 데, 주요 ...

NVMe 스토리지는?

2 분 소요

NVMe(Non-Volatile Memory Express) 스토리지는 고속 SSD(Solid State Drive) 인터페이스 및 프로토콜로, 기존 SATA(SATA SSD) 및 SAS(SAS SSD) 대비 훨씬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와 낮은 지연시간(Latency)을 제공한다.

Infiniband vs. RoCE 비교

1 분 소요

HPC&AI 고성능 네트워킹에서 NVIDIA의 인피니티밴드(Infiniband)과 RoCE(RDMA over Converged Ethernet) 기술은 양대 산맥으로 흔히 사용한다.

스파인-리프 네트워크

1 분 소요

스파인-리프(Spine-Leaf) 네트워크는 데이터 센터나 고성능 컴퓨팅(HPC), 클라우드 환경에서 고속, 확장성 높은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층형 네트워크 토폴로지이다.

GPU에서 Inter-node와 Intra-node 차이점

1 분 소요

NCCL(NVIDIA Collective Communications Library)에서 intra-node와 inter-node는 비슷한 발음으로 헤깔리기 쉬운 데, 다음과 같이 정리해본다.

지연(Latency)

2 분 소요

앞서 RDMA에 대한 글을 적으며, 한 가지 ‘지연(latency)’에 대한 용어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왜냐하면, 지연(latency)이란 데이터가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다시 말해, 네트워크나 시스템에서 요청(...

RDMA에 대하여

3 분 소요

RDMA(Remote Direct Memory Access)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간에 CPU 개입 없이 메모리를 직접 읽고 쓰는 기술이다. 주로 고성능 컴퓨팅(HPC), 대규모 데이터 처리, AI/ML 분산 학습 환경 등에서 낮은 지연 시간과 높은 대역폭을 제공하기 때문에 많이...

[강의] 대학생을 위한 AWS

1 분 소요

대학생을 위한 AWS 강의 자료는 고용노동부와 EBS, 메가존 클라우드와 함께 스타트업 및 대학생, 취업생을 위한 ‘스타트업유니버시티’의 일환으로 강의한 자료를 공유합니다.

벡터와 텐서의 차이

1 분 소요

지난 강의 중에 벡터와 텐서의 차이점을 물어본 분들이 있어서 좀 더 정확하게 정의를 한다. 왜냐하면, 인공지능 모델은 다차원 공간 이상의 텐서로 구성으로 되어 있고 텐서들 끼리 연산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벡터(Vector)와 텐서(Tensor)는 둘 다 선형대수학 및 물리학 등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