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포스트

지연(Latency)

2 분 소요

앞서 RDMA에 대한 글을 적으며, 한 가지 ‘지연(latency)’에 대한 용어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왜냐하면, 지연(latency)이란 데이터가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다시 말해, 네트워크나 시스템에서 요청(...

RDMA에 대하여

3 분 소요

RDMA(Remote Direct Memory Access)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간에 CPU 개입 없이 메모리를 직접 읽고 쓰는 기술이다. 주로 고성능 컴퓨팅(HPC), 대규모 데이터 처리, AI/ML 분산 학습 환경 등에서 낮은 지연 시간과 높은 대역폭을 제공하기 때문에 많이...

드디어 AWS 기반 데이터 과학 책이 나왔다!

2 분 소요

드디어 저의 번역 책이 출판 된다. 2021년 코로나 시절에 시작해 무려 2년 동안 번역했다. 이 책은 AWS 데이터 과학과 인공지능, 세이지메이커를 이용한 BERT 다루는 내용과 MLOps 가 총망라에 되어 있다.

AWS, 머신러닝 채택과 혁신의 6가지 트랜드

2 분 소요

맥킨지의 최근 보고서는 ML 산업화와 AI 적용할 때 올해의 최고 트렌드 중 하나로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지난 주 AWS re:Invent 컨퍼런스 세션에서 아마존의 AI 및 머신러닝 부사장이자 GM인 브라틴 사하는 클라우드 대기업이 2022년 이후에 혁신과 채택을 주도하는 데 도...

[강의] 대학생을 위한 AWS

1 분 소요

대학생을 위한 AWS 강의 자료는 고용노동부와 EBS, 메가존 클라우드와 함께 스타트업 및 대학생, 취업생을 위한 ‘스타트업유니버시티’의 일환으로 강의한 자료를 공유합니다.

벡터와 텐서의 차이

1 분 소요

지난 강의 중에 벡터와 텐서의 차이점을 물어본 분들이 있어서 좀 더 정확하게 정의를 한다. 왜냐하면, 인공지능 모델은 다차원 공간 이상의 텐서로 구성으로 되어 있고 텐서들 끼리 연산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벡터(Vector)와 텐서(Tensor)는 둘 다 선형대수학 및 물리학 등에...

머신러닝 용어와 개념

1 분 소요

머신러닝의 기본적인 개념과 모델의 정의, 모델 학습, 평가 및 배포에 대해 노트를 정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