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분 소요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상에서 AI 아키텍처 디자인을 솔루션 아키텍트들이 무엇을 고려하고, 어떻게 하는 지에 대한 스터디를 위한 가이드가 업데이트 되어서 이를 노트에 정리한다.

1. AI 개념

  • AI는 기계가 인간의 지능적인 행동을 모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 데이터를 분석해 이미지와 영상을 생성하기
    • 음성을 분석하고 합성하기
    •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음성 상호 작용하기
    • 예측을 하거나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기
  • AI Apps: AI를 애플리케이션에 통합하면, 기존의 논리나 처리 방식으로는 효과적으로 다룰 수 없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음
  • AI 솔루션 아키텍트 역할: 솔루션을 설계하는 아키텍트로서, AI 및 머신러닝의 생태계를 이해하고 Azure 솔루션을 워크로드 설계에 어떻게 통합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

2. Azure Architecture Center 에서 AI 가이드

  • Azure Architecture Center는 예제 아키텍처, 아키텍처 가이드, 아키텍처 기준, 그리고 여러분의 시나리오에 적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함.
  • AI 및 머신러닝 구성 요소가 포함된 워크로드는 Azure Well-Architected Framework의 AI 워크로드 지침 준수
  • 다섯 가지 아키텍처 원칙(Architecture Pillars)에 걸쳐 AI 및 머신러닝 워크로드에 영향을 미치는 원칙과 설계 가이드를 포함하고 있음
    • 신뢰성(Reliability)
    • 보안 (Security)
    • 비용 최적화 (Cost Optimization)
    • 운영 우수성 (Operational Excellence)
    • 성능 효율성 (Performance Efficiency)
아키텍처 원칙 (Pillar) 워크로드 고려 사항 (Workload concern) 원칙 적용 방법 (Apply the principles) 균형점 찾기 (Strike a balance)
신뢰성 (Reliability) 복원력, 가용성, 복구 비즈니스 요구사항, 복원력, 복구, 운영을 고려하여 설계하되, 복잡하지 않게 단순성을 유지합니다. 설계 원칙 및 트레이드오프 고려
보안 (Security) 데이터 보호, 위협 탐지 및 완화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보호합니다. 설계 원칙 및 트레이드오프 고려
비용 최적화 (Cost Optimization) 비용 모델링, 예산, 낭비 감소 사용량과 요율 활용도를 최적화하되, 비용 효율적인 사고방식을 유지합니다. 설계 원칙 및 트레이드오프 고려
운영 우수성 (Operational Excellence) 전체적인 가시성 확보, DevOps 관행 표준, 종합적인 모니터링, 안전한 배포 관행을 통해 운영을 간소화합니다. 설계 원칙 및 트레이드오프 고려
성능 효율성 (Performance Efficiency) 확장성, 부하 테스트 수평 확장을 설계하고, 조기에 자주 테스트하며, 솔루션의 상태를 모니터링합니다. 설계 원칙 및 트레이드오프 고려

3. 알고리즘 개요

  • 알고리즘 또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사람들이 복잡한 데이터셋을 탐색하고 분석하며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코드 조각

  • 각 알고리즘은 머신이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따를 수 있는 명확하고 유한한 단계별 지침의 집합

  • 머신러닝 모델의 목표는 예측을 하거나 정보를 분류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패턴을 설정하거나 발견하는 것

    • 어떤 알고리즘은 반려동물이 고양이, 개, 물고기, 새, 또는 도마뱀 중 무엇인지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음
    • 훨씬 더 복잡한 다른 알고리즘은 문서화된 언어나 음성 언어를 식별하고, 단어를 분석한 후 다른 언어로 번역하고, 마지막으로 번역 결과의 정확성을 검사하는 방법
  • 해당 계열 내에서 다양한 알고리즘을 평가하여 워크로드에 적합한 알고리즘을 찾는 것이 중요

4. 머신러닝

  • 예측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AI 기법
  • 데이터 필드를 분석하고, 데이터 내의 패턴을 “학습”하여 모델을 생성함 -> 새로운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보에 근거한 예측이나 결정을 내림
  • 예측 모델은 알려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검증되며, 특정 비즈니스 시나리오에 대한 성능 지표를 통해 측정되고 필요에 따라 조정
    • 훈련(training): 모델의 학습(데이터에서 패턴을 학습하여 모델 생성)과 검증(성능 측정 및 조정) 과정
    • 머신러닝 모델은 주기적인 재훈련(retraining)을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더 향상됨
  • AI 워크로드를 설계할 때, 과거의 관찰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래 상황을 신뢰성 있게 예측할 수 있는 시나리오라면 머신러닝을 권장함.
  • 과거의 관측된 데이터는 보편적인 사실일 수도 있고, 특정한 상황에 맞춘 경우일 수도 있음.
    • 예: 과거 품질 보증 클레임 데이터를 기반으로 조립 라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조립 오류를 감지하는 컴퓨터 비전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