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 소요

2025년 6월 18일 공개된 MCP 최신 사양은 단순한 기술 업데이트를 넘어, AI 시스템의 응답 정확도, 사용자 경험, 보안, 운영 효율성 전반에 직결되는 핵심 변화 3가지를 포함하고 있다. 이번 노트에서는 MCP의 새소식을 정리해 보겠다.

1. 구조화된 Tool 응답 (Structured Tool Output)

  • 기존: 도구 호출 결과를 사람이 읽기 좋은 문자열로 반환
  • 변경: 머신이 바로 처리 가능한 JSON 형식의 구조화 응답 제공
  • 효과:
    • 파싱 오류 감소, 처리 속도 개선
    • 응답 정확도 및 자동화 가능성 향상
    • 시스템 간 통합이 더욱 용이해짐

2. 정보 요청 흐름 개선(Elicitation)

  • 기존: 필요한 정보를 한 번에 모두 입력해야 함
  • 변경: 모델이 대화 흐름 내에서 자연스럽게 추가 정보를 요청
    • 예: “날짜 범위를 알려주세요”, “어떤 캘린더를 쓸까요?”
  • 효과:
    • 사용자 피로도 감소
    • 입력 누락 방지 → 완성도 높은 요청 처리 가능
    • UX/대화 품질 대폭 개선

3. OAuth 정렬 및 강화된 접근 제어

  • 변경: MCP가 공식 OAuth 리소스 서버로 인증
  • 효과:
    • 도구별 접근 제어 토큰 발급 가능
    • 사용자 또는 역할 기반의 제한 설정 가능
    • 민감 도구/정보에 대한 보안 리스크 최소화

4. 전략적 시사점

분야 효과
고객 경험 (CX) 더 자연스럽고 유연한 대화 가능
보안/컴플라이언스 인증 기반 세분화된 접근 제어
운영 효율성 시스템 간 연동 간소화, 에러 감소
시장 대응력 한국 기업의 AI 서비스 고도화 기반 확보

5. 결론

  • 단순 기능 향상이 아닌, 차세대 AI 인터페이스의 핵심 인프라 업그레이드
  • AI-API 연동에서 사용자 경험과 보안을 함께 고려해야 할 시점

댓글남기기